본문 바로가기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물생활,환경 지식 - Aqua knowledge

관상새우 어항, 순환만으로는 부족합니다.

by 쭈브리더 2024. 6. 5.
728x90

안녕하세요 쭈브리더입니다.
여러분들은 건강한 새우를 원하시나요?
또는 유지관리가 적은 생태계를 원하시나요?
아니면 수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싸이클링의 이해에 대해 배우고 싶으십니까?
그래서 오늘 순환식 어항(싸이클링 어항) 물잡이 과정에 대한 변화를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순환식 어항이란?
순환식 어항은 생태계 균형이 잘 잡힌 어항을 말하며 약 24시간 내 2~3PPM의 암모니아를 질산염으로 처리할 수 있는 어항을 말합니다.
이것은 특정 하위 집합체인 질산화 박테리아가 수족관에 잘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말하며 건강한 새우어항으로 향하는 중요한 단계로 모든 어항의 생태 싸이클링으로 발생하는 물의 변화, 새롭게 생기는 생태계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며 이제 세팅하는 어항의 6~8주의 변화를 인내심을 갖고 기다릴 가치가 있다고 약속하며 변화에 대한 3가지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첫 싸이클링의 시작, 박테리아의 생성과정


먼저 첫 싸이클링에 변화 시점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어항에 조류를 본 적이 있을 것이고 이는 매우 흔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검은 수염 조류나 털조류는 어항 조명 광량이나 영양분의 불균형으로 생기는 징후입니다.
반대로 어항에도 좋은 조류도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녹색먼지 조류와 녹색반점 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동안 단백질, 당분 및 기타 유기화합물을 생성하며 먹이 피라미드의 기초로 형성되어 어항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런 모든 영양소를 생산하면서 생물막(biofilm)을 방출하며 질소순환에 필요한 질산화 박테리아 이외 다른 박테리아가 살아갈 수 있는 영양분을 제공해 다른 만은 종의 먹이사슬을 만들고 또한 생물막(biofilm)을 조류 및 기타 박테리아, 곰팡이가 물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며 실제로 어항의 표면에서 생물학적 여과를 적극 수행함으로써 어항 생태계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해외논문 (Veronica 2016년 자료)를 찾아보면 건강한 생물막이 새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고 연구자들은 민물관상새우와 생물막을 성장시키는 세 가지 다른 연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민물 관상새우는 면적이 작은 플라스틱수조에 물을 바꾸지 않고 먹이도 주지 않았는데 2개월 동안 새우가 수조 가득 채워졌으며 세 그룹 중 두 그룹은 생존율 100%였고 세 번째 그룹만 생존율 약 90%였지만 성공적인 번식을 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생물막에 대한 DNA테스트를 진행했고 녹조류와 다양한 엽록소를 가진 시아노박테리아인 것을 발견해 냈습니다.
우리들은 DNA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없지만 어항 유리벽과 기질로 눈에 보이는 조류를 통해 시아노박테리아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조류는 대부분 4~6주 후 유리벽에 자랄 수 있는 기간인데 약 4주 후 일부성장이 보이지 않는다면 두 가지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빛의 강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두 번째는 조류가 어항 유리에 쌓이는 게 아닌 가벼운 먼지처럼 쌓이는 것을 확인해야 하며 너무 많은 조류는 오히려 빛을 차단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수조의 생물막 활성화가 잘 될 수 있도록 잠시동안 모든 바닥생물과 새우에게 먹일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미관상 보기 싫다면 스크래퍼로 긁어내어 어항의 영양분과 조명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두 번째 싸이클링 시작,다세포 생물의 등장 먹이사슬


많은 브리더들은 자신의 수조에서 돌아다니는 작은 흰색벌레를 발견하면 걱정하거나 불쾌해하는데 이것은 약간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생물들이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알게 된다면 그들이 생태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면 재평가하게 될 것입니다.
미생물은 어항에 사는 작은 다세포 생물이며 그중 다수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종류는 요각류, 물벼룩, 코페포다 등이 있지만 어항에는 이보다 더 다양한 종들이 존재하며 이 생물들은 잔여물(사체, 곰팡이, 먹이 찌꺼기 등)을 먹음으로써 오염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다른 상위 포식자로 하여금 먹이사슬의 다양성을 제공하게 됩니다.
약 6~8주 안에 수조에 다양한 미생물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이런 미생물들이 많아지게 되고 먹이 자원이 많아져 먹이경쟁에 밀려 탈락되는 개체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싸이클링 시작,미생물과 식물의 순기능


새로운 어항에 미생물을 넣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생태계가 잘 갖춰진 다른 어항의 스펀지여과 필터를 설치하는 것인데 몇 주 동안 시간이 경과되면 그 위에 조류 박테리아 미생물이 자라게 되고 두 번째는 수초 같은 식물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미생물은 생태계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제는 몇 주 후 미생물 성장이 보이지 않는다면 어항 속 생태계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라 볼 수 있고 좋은 생태계속에 수초도 건강하게 자라 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수초는 생태계에 많은 일을 하는데 물속 산소 공급과 물을 정화하며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며 뿌리식물은 바닥 속에 뿌리를 내리며 퍼져나가며 바닥 속 산소순환을 시켜 바닥 생태계에 큰 도움을 주며 건강하지 않은 수초인 경우 분해되면서 암모니아를 발생시켜 수질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물을 선택하기 위해 식물마다 각각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광량을 좋아하는지, 뿌리식물인지, 수류를 좋아하는지를 따져봐야 하며 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것은 이끼류(Moss)가 포함됩니다.
이끼류는 미생물이 자라는데 유익한 박테리아가 자라기 위한 큰 표면적을 제공하고 질산염을 쉽게 흡수하여 암모니아와 질산염의 축적 가능성을 줄이고 수질개선을 하며 새우에게 풍부한 유기물을 제공하여 이로 인해 환수를 많이 하지 않고 어항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fQnGewobFpw?si=fUxSmugux6rMR1x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