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서식환경25

동자개.눈동자개.대농갱이 동자개.눈동자개.대농갱이 우리나라 토종 물고기 동자개, 눈동자개, 대농갱이의 습성과 서식환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핏 보면 메기와 퉁가리종을 반반 섞어 놓은 듯한 신기한 우리나라 물고기이기도 합니다. 동자개종들은 가슴뼈를 비벼 특이한 소리를 내는데 빠각 빠각 소리를 낸다고 해서 빠가사리라고도 불립니다. 동자개 최대 성장 크기 15~20cm가량 자라는 대형어종으로 등지느러미 시작점이 높으며 주둥이는 넓고 납작하며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어 입이 아래로 향해있습니다. 입수염은 4쌍이며 가슴지느러미 가시에는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어 잡을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늘은 없고 꼬리지느러미 가운데가 깊게 파인 것이 특징입니다. 체색은 노란색 바탕에 머리부터 꼬리 부분까지 폭이 넓고긴 검은색 무늬가 4개 정도 있으며.. 2021. 4. 3.
참중고기.중고기 참중고기.중고기 토종물고기는 중고기, 참중고기의 서식환경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고유의 어종으로 잘 알려진 물고기는 아닙니다. 민물고기 동호인들에게 납자루종, 버들붕어에 이어 사육되는 인기 어종이기도 합니다. 중고기 기름치라고 불리는 어종으로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조금 납작하며 주둥이 끝이 둔하고 둥글고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고 입이 작습니다. 몸은 옆면에 불규칙한 검은색 얼룩이 퍼져있고 가운데를 따라 폭이 넓고 흐미한 검은색 세로줄이 있습니다. 등지느러미 아래쪽과 바깥 가장자리에 검은 무늬가 있고 꼬리지느러미 위아래 바깥쪽으로도 검은 얼룩이 길게 나타나 있습니다. 체색은 등은 암녹색이고 배는 은백색입니다. 최대 성장 크기는 10~15cm까지 자라나며 서해와 남해로 흘러드는 물가.. 2021. 2. 16.
드렁허리.뱀장어 드렁허리.뱀장어 우리나라 토종물고기 드렁허리와 뱀장어의 서식환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드렁허리 진흙에 파고드는 습성 때문에 논두렁을 허물어 '드렁허리(두렁헐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논에 사는 장어라 하여 '논장어'라 합니다. 영어권 지역에서는 드렁허리와 그 근연종들을 Swamp eel이라고 부르는데 장어와는 생판 다른 종입니다. 몸통은 원통형으로 장어나 미꾸라지종과 생김이 비슷하고 눈 뒷 가장자리부터 아가미구멍의 윗부분까지는 주둥이 높이보다 뚜렷하게 높고 아가미구멍 뒤 끝부터는 다시 낮아집니다. 위턱에는 융모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아래턱과 구개골(입천장 앞쪽에 있는 한 쌍의 납작한 뼈)에는 날카로운 작은 이빨이 촘촘히 나 있습니다. 진흙이 많은 논이나 호수 등에 살고 주둥이만 물 밖에 내.. 2021. 1. 21.
가물치 가물치 우리나라의 육식어종이자 최고의 보양식라 불리는 물고기이며 외국 (미국과 호주)에선 유해동물 가물치의 습성과 환경 대해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민물 포식자 최상위의 물고기로 원통형 몸통에 길고 가는 편이며 크기 자라나는 물고기로 90cm이상으로도 자랍니다. 뱀의 머리를 닮아 해외에선 스네이크헤드 라 불립니다. 몸은 검은빛을 띠고 있으며 몸에 규칙적인 검정 패턴이 있습니다. 배 쪽은 희거나 노란색을 띠며 지느러미는 검은 갈색의 불규칙한 반점이 있습니다. 물에 대한 내성은 강해 0도~30도까지 서식이 가능하며 물이 탁하고 바닥이 뻘로 되어있고 물풀이 많은 곳을 선호합니다. 한국과 중국 일본에 서식하는 어종으로 아가미 호흡과 공기 호흡을 하는 어종으로 겨울이 되면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뻘속이나 밀집된 물풀.. 2021. 1.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