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우리나라물고기2

드렁허리.뱀장어 드렁허리.뱀장어 우리나라 토종물고기 드렁허리와 뱀장어의 서식환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드렁허리 진흙에 파고드는 습성 때문에 논두렁을 허물어 '드렁허리(두렁헐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논에 사는 장어라 하여 '논장어'라 합니다. 영어권 지역에서는 드렁허리와 그 근연종들을 Swamp eel이라고 부르는데 장어와는 생판 다른 종입니다. 몸통은 원통형으로 장어나 미꾸라지종과 생김이 비슷하고 눈 뒷 가장자리부터 아가미구멍의 윗부분까지는 주둥이 높이보다 뚜렷하게 높고 아가미구멍 뒤 끝부터는 다시 낮아집니다. 위턱에는 융모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아래턱과 구개골(입천장 앞쪽에 있는 한 쌍의 납작한 뼈)에는 날카로운 작은 이빨이 촘촘히 나 있습니다. 진흙이 많은 논이나 호수 등에 살고 주둥이만 물 밖에 내.. 2021. 1. 21.
토종물고기 서식지 토종물고기 서식지 우리나라 토종물고기의 서식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탐어 란? 물고기, 어패류, 갑각류들이 분포되어있는 곳을 찾아 관찰, 연구, 조사하는 일 서식환경에 따라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갑니다. 계류 먼저 민물을 기준으로 냇물이 흐름이 시작되는 물길 중 가장 높은 산 물길을 계류(계곡)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나무가 울창해 햇빛이 잘 닫지 않아 물이 차며 용존산소가 높고 수질이 깨끗합니다. 바위 주변에 이끼가 많이 끼고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살이 느린 곳에 큰 자갈이나 돌이 쌓입니다. 물 양은 적지만 여울에서 물이 세차게 흐르며 얕은 웅덩이가 나타나며 물환경이 단순하여 서식종들이 적습니다. 서식종 참가재, 금강모치. 버들치, 미유기 등 상류 상류지형은 계류 지형보다 비탈이 누그러지.. 2020. 10.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