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물생활,환경 지식 - Aqua knowledge

아마존에서 온실가스

by 쭈브리더 2021. 5. 11.
728x90

전 세계의 열대우림의 절반이 모여있는 아마존

 

지구의 허파 아마존이 불에 타며 탄소(온실가스)를 내뿜는 굴뚝으로 변하고 있다합니다.

생물학적, 지리학적으로 연구가 많이 필요하며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브라질에 위치한 거대한 숲입니다.
아마존의 울창한 숲은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지구의 허파라는 사실은 누구나다 알고 있는 믿고 있는사실입니다.
지금은 숲을 태우는 시커먼 연기가 하늘을 뒤덮고 붉은색 화염은 숲을 뒤덮고 있습니다.
밤낮 할 것 없이 계속 불에 타며 화마가 휩쓸고 간 자리는 검은재와 죽은 동물들의 사체들 뿐입니다.

나무가 불타면 탄소를 대량으로 방출하고 방출된 탄소를 다시 나무가 흡수하는데 흡수하는 탄소양보다 배출되는 탄소양이 많아지기 때문 더욱더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아마존 열대우림의 숲의 기능으로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연간 139억 톤이며 현재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66억 톤으로 27억 톤의 이산화탄소배출량이 더 늘어난 것입니다.
아마존 열대우림은 한반도 면적의 25배에 달하는 550만 Km 2 숲으로 9개 국가에 걸쳐있으며 브라질 지역의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하는 대한민국의 연간 탄소배출량의 20배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이유는 무엇일까?

2019년 1월에 새로 들어선 브라질의 38대 대통령 보우 소나로 정부가 아마존을 보존하기보다 개발을 장려했고 정부 정책으로 아마존강에 다리, 수력발전소, 연방 고속도로 확충 등을 포함하였습니다.
가뭄이 같이 겹쳐지며 잘못된 국가정책과 자연재해로 인해 엄청난 자연 파괴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보우 소 나루 정부는 아마존의 파괴 외에도 코로나 19 대응을 비상식적으로 조치하며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탄소배출량이 많아지면 어떻게 될까?


산소의 대부분은 바닷속의 미생물들에 의해 발생이 됩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짙어지면 발생될 문제들이 많은데 온도는 민감하게 상승 압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존과 이산화질소가 오랫동안 대기권에 머물며 기후변화에 핵심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강수유형이 변하고 식물성장과 바다의 얼음과 빙하 등 여러 곳에서 변화가 발생됩니다.
기이상적인 날씨 변화로 토네이도, 한파, 태풍, 가뭄, 홍수 등의 피해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바닷속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에 따라 PH변화로 바닷속 생물들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게 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