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티스 쉬림프
안녕하세요 쭈브리더입니다.
바다속의 작은 포식자 복싱의 일인자로 불리는맨티스 쉬림프의 종류와 키우는 방법을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Trcjk/btrlZuyMQL6/sc7DSFw1n9yiuSg9kbPex1/img.jpg)
맨티스 쉬림프는 바닷가재의 일종으로 맨티스(mantis) 사마귀, 쉬림프(shrimp) 새우의 뜻으로 공작 사마귀새우로 불립니다.
수명은 20여 년 정도이며 1부 1 처제로 암수가 맺어지면 함께 알을 돌보며 죽을 때까지 함께 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크기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크기는 15~30cm 전후로 성장하며 빨, 주, 노, 초, 파, 남, 보 무지개색의 몸통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마귀처럼 머리가 돌아가지는 자유롭게 돌아가진 않지만,360도 모든 방향을 볼 수 있는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자외선과 적외선,가시광선 영역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맨티스쉬림프의 편광감지능력을 기반으로 사람의 건강한 세포와 악성세포를 구분할수있는 암세포감지연구를 진행하고있습니다.
맨티스 쉬림프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앞발에 있고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스매셔형과 스피어형으로 나뉩니다.
스매셔 형은 단단한 앞발을 이용해 펀치를 날려 먹잇감을 사냥하는데 초속 25 m/s의 속력으로 펀치를 날리게되는데 쇼크웨이브가 발생하며 먹이가 기절하고 엄청 난 속도로 인한 기포가 발생과 대량의 열을 냅니다.
그래서 스매셔 형은 주요 먹잇감은 바다게 종류나 조개 같은 단단한 먹이를 먹습니다.
스피어 형은 칼날같은 앞발을 창으로 찌르듯 먹잇감을 사냥하며 주로 작은 물고기나 연체동물등을 잡아먹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wEzI/btsH1aToLYW/0pa683BiD852JJa1gMlmZ1/img.jpg)
한국에도 맨티스 쉬림프 스피어형이 살아가는데 한국에선 바다 갯가재라 불리며 바다 갯가재 와 쏙의 생김이 같아 혼용되어 이름이 불리기도합니다.
맨티스 쉬림프 사육환경
맨티스 쉬림프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것은 최소8T(유리두께 8cm)이상 어항이 필요하며 어항 크기는 최소 1자(45 큐브형)~2자를 준비해야 합니다.
8T 어항 역시 먹이활동을 하다 깨는 경우도 빈번히 일어나기도합니다.
해결책으로 루바망 같은 플라스틱 망을 유리항 주변에 설치하는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생먹이를 중심으로 먹는 생물이라 여과시설이 좋아야 하며 배면 여과 또는 섬프 외부여과기가 좋으며 바닥재는 산호사와 라이브락, 데드락을 넣어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땅굴을 파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바닥재는 충분히 높게 깔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맨티스 쉬림프 사육 시 주의사항
맨티스 쉬림프를 다룰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향이 매우 공격적일 수 있으며, 성체의 경우 먹이를 주다 앞발로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됩니다.
따라서, 직접 손으로 만지지 말고, 집게를 이용해 먹이 피딩 또는 어항관리를 해주는것이 좋고 가끔 먹잇감을 펀치하다 어항유리가 깨지는 사고도 발생되기 때문에 꼭 어항의 두께는 두껍게 설정해야합니다.
맨티스 쉬림프는 단독성향과 공격성이 강해 다른 어류나 무척추동물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단독 사육하는 것이 좋고 갑각류의 경우 탈피로 인한 급사를 할수있어 충분한 숨을 공간을 만들어 탈피할때 방해받지않고 안전하게 할수있게 환경을 조성하는게 중요합니다.
어항 유리도 박살낸다는 공포의 맨티스 쉬림프
https://youtu.be/qjLiA5g9SkI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 > 생물도감 - Anim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리오네 (0) | 2022.06.19 |
---|---|
투구게 (0) | 2022.03.25 |
담비 (2) | 2021.09.30 |
엘리게이터 가아 (2) | 2021.09.24 |
아홀로틀.우파루파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