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생물도감 - Animals

투구게

by 쭈브리더 2022. 3. 25.
728x90

투구게

 

오늘은 투구게의 습성과 사육환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투구게는 바이오산업과 인류가 병원균들을 극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생물이지만 인간에 의해 희생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화석으로 유명한 약2억년전 모습그대로 보존한 외형의 투구게는 5종의 투구게가 살고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말의 발굽 모양처럼 생겨 말 발굽게 라고도 불리며,한국에서는 투구를 쓴 모습이라  투구게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투구게는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고 있으며 아시아 투구게, 남방 투구게, 맹그로브 투구게가 있으며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아메리카 투구게가 있습니다.
몸길이 50~60cm가량 자라나며 머리가슴, 배, 꼬리로 3등분입니다.
투구에는 홑눈 2개 과 3개의 겹눈 총 5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홑눈은 곤충, 거미, 일부 갑각류 등에 있으며 주로 빛의 명암을 구분하며,겹눈은 물체의 형태 색감 움직임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사용합니다.
투구 머리 밑에 총 6쌍의 집게다리가 있으며 6쌍의 집게는  먹이를 입으로 가지고 다니거나 번식 또는 이동으로 사용하며,꼬리의 경우  투구게가 물살 또는 여러 이유로 몸이 뒤집어졌을 때몸을 제대로 세우는 목적으로 사용을 합니다.
복부(배)는 뒤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6쌍의 가시가 존재합니다.
암컷은 수컷과 조금 달라서 중간과 뒷쪽에 3쌍의 작은 돌기가 있습니다.
이것으로 암컷과 수컷을 복부의 가시로 성별을 파악합니다.
투구게는 7월에 산란을 하며 얕은 바다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번식기에 수컷은 암컷을 발견하면 첫번째 다리와 두번째 다리로 끌어안는데, 이 힘이 상당히 강하여 잘 풀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가끔 암컷으로 착각하여 커다란 물고기나 바다 거북등을 껴안고 있기도 합니다.
수컷이 암컷의 등에 올라탄 모습으로 교미를 하며 교미 이후 암컷은 얕은 바다 갯벌을 파고약 300~400 개량의 알을 낳습니다.


투구게의 사육환경


투구게는 사육의 난도가 높은 편에 속하며또한 개체를 구하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바다에 서식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바다 서식 환경에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육환경으로 섬프 또는 배면등의 여과시설이 갖춰진 해수 어항이 좋으며,바닥재는 버로우(borrow 땅속에 숨는 특성) 특성을 고려해 입자가 작은 산호사 또는 입자가 작은 모래로 세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탈피를 통해 성장을 해나가며 성장 속도는 더딘 편이며탈피 부절로 인해 폐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좀 신경을 써야 합니다.
먹이는 바다 쉬림프 사료 또는 침강성 열대어 사료를 급여해도 좋으며,잡식성이기 때문에 생먹이도 급여가 가능합니다.


투구게의 개체수 감소 멸종위기


투구게의 혈액은바이오산업/신약개발에 없어선 안 되는 존재입니다.
투구게 혈액 1.5L당 가격은 2,700만원대로 높은가격을 자랑하기도 합니다.
투구게 혈액 가격이 비싼가격은 헤모시아닌성분때문인데 모든 동물의 혈액 속 체내 산소를 운반을합니다.
혈액속 철(Fe) 성분은 산소를 만나면서  헤모글로빈 성때문에 혈액색이 빨간색을 띄며 투구게의 혈액에는 헤모시아닌 이라는 혈색소가 대신하고 있으며 구리(Cu)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파란색을띕니다.
전갈, 거미, 문어의 역시 헤모시아닌 성분 때문에 혈액이 파란색입니다.


투구게는 단순한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는데투구게 체내에는 항체가 없고 세균이 들어오면 그대로 젤리같이 혈액을 응고시킵니다.
이런 특징을 활용하여 멸균이 필요한 곳에서 세균의 존재를 확인하는 시험약을만드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투구게의 혈액에서 추출되는LAL(Limulus Amebocyte Lysate)라는 단백질은수영장에 떨어진 설탕 알갱이 하나에 반응할 정도로매우 민감하고 정밀하게 반응하기때문에
세균 검출 속도가 빨라 실험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매년 50만 마리의 투구게가 의학용으로 잡혀 사용되고 있으며,투구게 심장 쪽에 바늘을 꼽아 자신의 혈액의 30%를 채혈하며  바다로 돌아가기도 전에 10~30%는 폐사되는 경우가 많으며자연으로 돌아가도 스트레스로 번식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현재
투구게의 혈액을 대처할 수 있는 물질을 끊임없이 연구 중이지만아직까지는 대안 물질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추세라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가 되고,이로 인해 바이오, 의학산업 큰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 > 생물도감 - Anim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든일.정원장어  (0) 2022.09.27
클리오네  (0) 2022.06.19
맨티스 쉬림프  (0) 2021.11.23
담비  (2) 2021.09.30
엘리게이터 가아  (2)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