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
한국 육식동물 3대장 담비의 종류와 습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담비는 족제비과 동물로 한국의 생태계에 상위에 있는 육식동물이기도 합니다.
이 작은 덩치의 녀석이 어떻게 생태계 상위 포식자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담비는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 동물로 크기는 대략 40cm~60cm가량 자라납니다.
같은 담비 속에 속하는 산달, 검은담비, 노란 목도리 담비 3 종이 있으며 족제비보다 몸이 3 배가량 더 큰 것이 특징입니다.
검은담비
족제비와 비슷하나 몸집이 다소 커서 60cm 정도이며 몸체는 가늘고 깁니다.
그중 다리가 고양이보다 짧으며 꼬리는 푸석합니다.
털빛은 연한 황갈색에 흑색까지 변화하여 털은 무척 치밀하고 부드럽습니다.
암컷이 수컷보다 상당히 작습니다.
서식지는 북한 함경남도 갑산과 백두산 보천보 일대에 서식합니다.
산달
검은담비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꼬리는 훨씬 길어서 미율(尾率)이 39∼48에 달합니다.
교미 시기는 2∼3월이며 임신기간은 7주, 새끼는 1, 2마리를 낳으며,먹이는 쥐와 야생조류가 주식입니다.
노란 목도리 담비 (우리나라에 자주 목격되는 담비)
몸통이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3/2 정도를 차지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약 3천 마리가량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멸종위기종 2급이며 담비의 생김새는 머리, 얼굴, 다리와 꼬리가 검은 갈색으로 뒤덮여있으며, 귀 뒤로부터 한 줄의 검은띠가 있습니다.
얼굴은 동그랗고 귀는 쫑긋하며등 쪽은 대부분 밝은 갈색으로 꼬리 쪽으로 갈수록 어두운 갈색을 띠며 배 쪽 털은 연한 살구색입니다.
목 부분은 밝은 노란색으로 목덜미는 어두운 색이며 아래턱은 흰빛을 띱니다.
벌꿀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어 양봉업자에게 환영받지 못한 동물이기도 합니다.
담비의 생활습성
울창한 침엽수림에서 2~3마리씩 무리 지어 잡식성으로 포유류부터 조류, 과실, 도토리 등을 먹으며 야행성 동물로 봄과 여름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하며 나무 위에는 올라가는 일이 드물고 능숙하지 않습니다.
행동반경은 2~4Km 내외 매우 활동적입니다.
봄.여름은 2~4마리씩 무리 생활을하며 교미 시기입니다
겨울이 되면 암컷은 동굴을 근거지로 활동하며봄이 되면 2~4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어린 새끼들은 36일 만에 눈을 뜨기 시작하여 6~8주 경과하면 동굴에서 나와 독립생활을 하게 됩니다.
수명은 10년 정도이며 현재는 우리나라의 살림 지대와 함경남도, 갑산이 담비 서식지이며 현재 백두산 보천보 일대에 희소하게 살고 있습니다.
어떻게 담비는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는가?
잡식성으로 가을에는 머루, 잣 등의 과실을 먹으며 활동 반경이 수십km이므로 배변활동을 통해 씨앗을 골고루 뿌립니다.
여름에는 들쥐, 다람쥐, 청서, 산토끼, 겨울에는 야생조류인 꿩, 멧닭 등을 잡아먹습니다.
이 작은 생명체들은 사냥 시에 협력하여 큰 먹이를 잡아먹을 수도 있는데자신들보다 강한 오소리와 고라니 새끼나 멧돼지 새끼까지도 잡아먹으며 두~세마리씩 짝을 지어 소통을 중시하며 포위망을 좁혀 사냥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달려들어 강한 앞발과 이빨로 공격을 합니다.
평균 담비 3천 마리가 1년 동안 고라니의 경우 1만 마리가량을 잡아먹음으로써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담비를 잡아먹을 수 있는 동물은 한국호랑이, 늑대와 한국표범이 전부였습니다.
상위포식자가 한국에서 자취를 감추며현재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습니다.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 > 생물도감 - Anim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구게 (0) | 2022.03.25 |
---|---|
맨티스 쉬림프 (0) | 2021.11.23 |
엘리게이터 가아 (2) | 2021.09.24 |
아홀로틀.우파루파 (0) | 2021.09.18 |
라쿤 (2) | 202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