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한국 민물고기 - Korean Fish

모래무지.모래주사.배가사리.왜매치

by 쭈브리더 2020. 11. 25.
728x90

모래무지.모래주사.배가사리.왜매치

 

 

토종 물고기의 바닥 대표어종으로 땅속에 버로우하며 생활하는 모래무지, 모래주사, 왜매치, 배가사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래무지

모래무지

몸은  길고 동근 기둥 꼴이며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집니다.
몸통에 비해 머리는 크며  주둥이는 튀어나와있고 등 쪽은 갈색이며 배로 갈수록 은백색입니다.
몸 옆면에  어두운 얼룩 6~7개 세로이 있고 몸 전체에 작은 점들이 흩어져있습니다.

모래무지는  버로우(땅 속으로 숨는것) 습성이 있어  모래와같은 보호색을 가지고 있어 찾아보기힘듭니다.
주둥이 아래로 돌기가 있어  모래를 잘 빨아들여  유기물과 수서곤충 등을 걸러서 잡아먹고 삽니다.
최대 10~18cm까지 자라고 입수염이 1쌍있습니다.

서식지환경은 중류와 하류 바닥에 모래가 많이 있는 바닥에 살고 수질에 민감한 편입니다.

사육환경은 사료는 열대어 사료로도 순치가 가능하고 수질을 제외하면 키우기 어렵지않습니다.

배가사리

배가사리


몸은  원통형이고 길쭉하지만  옆으로 약간 납작한 체형을 가졌습니다.
눈은  작고 위로 치우쳐있고  배부분은 평평해 돌에 잘 붙을 수 있는 몸 구조입니다.
주둥이는  반달 모양으로 아래턱이 윗턱보다 짧고 수염이 1쌍있습니다.

몸통 윗부분은 청갈색이고 배 쪽은 흰색입니다.
몸 중앙에 분명하지 않는 어두운 세로띠가 있고 세로띠 안에 8~9개 어두운 반점이 나란히 배치되어있습니다.
중상류의 맑은 물에 서식하며 자갈이 깔려있는 곳을 선호합니다.
규조류나 녹조식물와 작은 곤충 을 먹습니다.
한국 특산어종으로 대동강, 한강, 금강 등지에 분포합니다.

왜매치

왜매치

모래무지와 비슷하나 머리 부분이 뭉툭한 것이 특징이고  돌마자보다 머리와 주둥이가 짧습니다.
몸은  가늘고 길며 원통형에 가깝고  위아래로 약간 납작한 특징이 있습니다.
배부분은 평평하며 입 모앙은  말굽모양으로 아래턱이 윗턱보다 짧고 입술이 작은 주름이 있으며 두꺼우며 1쌍의 수염을 가지고 있지만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눈은 비교적 큰 편이고  위를 향해 붙어있습니다.
체색은 등 쪽은 황갈색이거나 회갈색 배 쪽은 은백색입니다.
양옆 가운데 짙은 갈색의 세로띠가 있으며 띠 속에 7~8개의 검은 반점이 나란히 있습니다.

서식환경은 하천 중류에 서식하고  물살이 빠르지 않고 바닥에 모래나 잔자갈이 깔린  여울을 선호합니다.
바닥 가까이 떼를 지어 이동하고 부착조류를 먹고삽니다.
한반도 고유어종으로  황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되어있습니다.

모래주사

모래주사

멸종위기 1급 어종으로  우리나라 고유어종입니다.
모래무지와 비슷하나 크기는  모래무지보다 작은 편입니다.
몸은  원통형으로 가늘고 길며 옆으로 조금 납작합니다.
주둥이는  끝이 둔한 원뿔 모양이며 위쪽으로 오목해  밑에서 보면 반원형입니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으며  입술에 피질 돌기가 발달해있고 윗입술의 피질 돌기는 가운데에 있는 것은 비교적 크며 입구석으로 갈수록 작아집니다.
입 수염은 가늘고 눈의 지름과 같은 길이입니다.
체색은 청갈색 옆구리 기준으로 배 쪽에 이르기까지 은백색이고 옆구리 비늘 뒤쪽에 작은 점들이 퍼져있습니다.

서식환경은 중상류 서식하며  물살이 느리고 물이 맑으며  모래바닥이나 작은 자갈이 깔린 얕은 시냇물에 무리를 지어 바닥 근처로 유영을 합니다.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한강수계에 서식합니다.
새뱅이, 수상 곤충, 규조류를  먹으며 살아갑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