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어(보리숭어).가숭어(참숭어)
우리나라 토종 물고기 숭어와 가숭어의습성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숭어와 가숭어는피라미 종류와 마찬가지로 외형 생김이 비슷하여 많이 헷갈리는 물고기 이기도 합니다.
숭어(보리숭어)
농어목 숭어가 에 속하는 어종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된 어종입니다.
연안이나 하구 근처에 서식하는 어종으로 양측 회유성 물고기입니다.
대부분 바다에서 성장을 하지만 기수나 민물에서도 흔히 발견됩니다.
특히 어린 물고기는 떼를 지어 냇물 깊숙이 올라와 자리를 잡으며 머물기도 합니다.
몸은 길고 둥근기둥 꼴이며 뒤쪽은 조금 옆으로 납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한 형태이며 머리 꼭대기는 평편합니다.
위턱이 아래턱보다 긴 것이 특징이며 앞에서 본 입의 모양은 "ㅅ"처럼 생겼고 겨울 철이 되면 노란빛을 띠는 작은 기름 눈 커플이 눈을 덮고 있으며 최대 길이 50~120cm의 민물고기 대비 큰 편에 속합니다.
체색은 등 쪽은 회청색이고 배 쪽은 흰색이며 가슴지느러미 마탕에 눈 크기만 한 푸른 무늬가 뚜렷하게 있고 어두운 세로줄이 6~8개 정도가 있습니다.
야생에선 잡식성 어종으로 뻘속의 유기물이나 조류 부착물을 뜯어먹고살아갑니다.
숭어는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숭어 매운탕이나 겨울에는 숭어회로도 먹습니다.
회로 먹을 경우는 디스토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10~1월 산란철이며 숭어가 연안으로 몰려오면서 이때 숭어잡기에 나섭니다.
숭어의 제철은 겨울~ 봄이며 특히 여름의 숭어는 맛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며 " 여름 숭어는 개도 안 먹는다"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가숭어(참숭어)
참숭어라고도 불리는 물고기로 서울 경기에서 참숭어라 불리며 방언으로 뚝다리라고 불립니다.
숭어와 비슷하지만 몸 전체적으로 회색빛이 강하며 숭어 보다 머리가 더 오래 위로 납작하며 눈에는 기름 눈 커플이 발달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양식대상어종으로 크기는 최대 70cm~100cm가량 자라나며 겨울철 회로 많이 먹는 어종이기도 합니다.
연해와 강하구에 살아가며 산란기인 3~5월경에 회유하는 어종입니다.
수정란은 17~19도에서 57시간만 지나면 부화를 하며 주로 강바닥에 식물성 플랑크톤과 유기물을 먹으며 숭어보다 기수지역에 더 가까이 서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숭어는 우리나라는 전연해와 강하구 일본과 중국 연안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숭어(참숭어)의 알인 경우 건조와 조미료 가미를 하여 만든 "어란"을 만들어 먹고 옛 수라상에 올라오는 진상품으로 한국 영암, 강화도 등에서 만드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숭어(보리숭어)와 가숭어(참숭어) 구별하는 방법
숭어와 가숭어를 비교하는 방법은 앞가슴 지느러미 쪽 푸른 무늬가 보이면 숭어 없으면 가숭어 몸통 색이 회청색에 가까우면 숭어 회색에 가까우면 가숭어 눈의 생김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홍채가 노란색일수록 가숭어 옅은 경우 숭어 겨울철 눈 커플에 기름 막눈 커플이 두껍게 보이면 숭어 약하게 있으면 가숭어 꼬리 지느러미 양갈래가 깊게 갈라져있으면 숭어 얕게 갈라져있으면 가숭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숭어과 가숭어(참숭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쭈브리더 아쿠아 - JJoo Breeder Aqua > 한국 민물고기 - Korean F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코 미꾸리.얼룩새코 미꾸리 (0) | 2021.04.17 |
---|---|
송사리.대륙송사리 (8) | 2021.04.14 |
동자개.눈동자개.대농갱이 (1) | 2021.04.03 |
갈겨니.참갈겨니.피라미 (0) | 2021.03.08 |
버들치.버들개(버들피리).버들가지 (3) | 2021.03.04 |